본문 바로가기
하루정리

소비습관과 돈에 대하여

by 에단킴 2023. 2. 1.
반응형
728x170

사람들은 누구나 갖고 싶은 것을 사고 싶은 욕망이 있다.

어떤 이는 갖고 싶은 것이 있어도 잘 참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이들은 바로바로 구매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는 전자이다. 나같은경우 물건을 하나 구매하기까지 많은 생각과 고민을 한다.

정말 빨리 구매하면 한달정도 생각하고 구매하는 게 아닌가 싶다.

내가 봐도 심하다고 생각할정도는 3년 동안 고민을 하다가 구매한 것도 있었다.

우리 와이프는 결혼전 처음에 이런 모습을 보고는 정말 답답하다고 했었다.

하지만 결혼후에는 답답하지만 이렇게 구매를 하니 오히려 물건을 더 잘 쓰는 거 같다고 말한다.

그래서 와이프도 요즘에는 사기전에 몇 번 생각해본다고 한다.

지금 보면 우리 와이프도 많이 바뀌긴 했다. 나와 정반대로 와이프는 맘에 들면 고민 없이 일단 사는 습관이었다.

그래서 처음 결혼하고 문 앞에 택배상자들을 보고 나는 적응을 하지 못했었다.

나는 한 달에 택배를 한건정도 올까 말까 했었는데 매일 하루에 2~3개는 기본으로 오는 걸 보고 이해가 되지 않았었다.

하지만 요즘에는 와이프도 아이 관련된 물건 외에 와이프 꺼는 한 달에 한두 개 정도로 오는 거 같다.

정말 많이 바뀐 게 아닌가 싶다.

요즘 들어 소비에 대해 다양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욜로족, 카푸어, 파이어족 등 다양하다.

그중 나는 욜로라는 단어를 좋아하지는 않는다. 현재의 자신의 행복의 중시를 위해 미래를 안 보고 모두 소비를 하는 것이 내 관점에서는 이해되지 않는다. 나는 현재의 삶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삶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현재 소비를 안 한다고 해서 그렇게 불만족스러운 삶을 살지도 않고 있을뿐더러 오히려 나는 50세 이후의 삶을 편안하고 즐겁게 살고 싶은 바람이 있다.

지금 현재 내 지인들 중에도 나와 같이 불필요한 소비를 줄여서 미래를 준비하는 이가 있는 반면 정말 버는 돈 전부를 매달 다 쓰는 이도 있다. 돈을 많이 벌고 못 벌고 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소비를 하느냐가 중요하다.

미래를 준비 중인 지인들 대부분 정말 자기를 위해 투자를 하고 관리를 하고 돈의 개념을 이해하며 지내는데 반면 욜로족인 지인은 자기만족을 위한 사치품 구매와 여행하는 곳에 모든 돈을 다 써버린다. 이들이 한 달에 버는 수입 또한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현재 이들의 자산은 비교될 만큼 벌어져있을 것이다.

이것은 아까 내가 말한 50대 이후의 삶에서 차이가 확연히 드러날 것이다. 지금 젊고 어린 사람들이 많이 하는 말들이 젊을 때 놀아야 늙어서 후회안한다고 많이 말하는데 그말도 이해가 된다. 하지만 젊을때 놀아야 한다는 그 개념이 나는 마냥 모두소비를 해서 노는 것이 아니라 많은 것을 경험하고 느끼고 배우는 거라고 생각한다. 그냥 마냥 놀기만 하고 즐기기만 하며 소비를 한다면 정말 늙어서 후회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20대에는 친구들끼리 그렇게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30대에 들어서면 정말 눈에 보일 정도로 차이가 나기 시작할 것이고 4~50대 되면은 그 차이는 엄청날 것이다. 늙어서 돈이 없으면 곁에 있던 이들조차도 점점 피하게 될 것이고 그러다 보면 비참한 삶을 이어나갈 수 있다. 정작 당사자는 돈이 없어도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자부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적어도 나이가 많이 들어 몸 어딘가 안 좋아서 병원을 가야 될 때 병원비조차 없으면 그건 어디서 구할 건가? 이런 게 현실적인 것이다.

지금 젊을 때 아무것도 준비 안 하고 모든 걸 소비했을 시 미래에도 그 습관은 고치기 힘들 것이다.

나는 모든 지인들에게 이렇게 글을 적은 내용들에 대해서 절대 말하지 않는다. 나는 그냥 여기 적는 건 내 생각일 뿐이고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이지 이방향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맞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괜히 내가 하는 말들로 그 사람의 인생을 책임질 것도 아닌데 관섭하는 건 아니라고 보기 때문이다.

다들 각자 추구하는 삶이 다르니까 각자 자기가 매일매일 생각하며 삶의 방향을 자기에 맞게 수정해 가며 사는 게 맞는 거 같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