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정보/건강

구내염의 원인, 종류, 치료법까지 한 번에 정리

by 에단킴 2025. 4. 30.
반응형
728x170

 

300x250

 

입안에 생긴 작은 궤양 하나가 식사도, 대화도 불편하게 만들었던 경험,
한 번쯤은 있으셨을 겁니다.

“입이 헐었다”, “입안에 하얗게 뭐가 났다”라는 말로 흔히 표현되는 이 증상은
대부분 구내염입니다.

단순히 한두 번 생기고 마는 문제일 수도 있지만,
반복되거나 범위가 넓을 경우 전신 질환의 징후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정확히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구내염의 종류, 원인, 치료법 및 예방법까지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구내염이란?

구내염(口內炎, stomatitis)은 말 그대로 입 안 점막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혀, 잇몸, 입천장, 볼 안쪽, 입술 안쪽 등 입안의 모든 점막 부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기는 작을 수 있지만 통증이 심하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질환입니다.
보통 1~2주 내에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반복되거나 장기화된다면 정확한 원인 규명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구내염의 주요 원인

구내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유발 요인들입니다.

  1. 면역력 저하
    과로,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면역 기능이 약화될 때 자주 발생합니다.
  2. 영양 결핍
    비타민 B군(특히 B2, B12), 철분, 엽산 결핍이 구내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3. 물리적 자극
    입술을 깨물거나, 날카로운 음식 또는 치아/교정 장치에 의한 반복 마찰 등
  4.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
    헤르페스바이러스, 연쇄상구균 등의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전신질환 관련
    베체트병, 크론병, 루푸스, 궤양성 대장염 등의 자가면역 질환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6. 호르몬 변화
    여성의 경우 생리 전후나 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내염의 주요 유형

  1. 아프타성 구내염 (Aphthous stomatitis)
  • 가장 흔한 형태
  • 작고 둥근 궤양이 하얀색 또는 노란색 중심과 붉은 테두리를 가짐
  • 보통 1~2주 내에 자연 치유됨
  1. 헤르페스성 구내염
  •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염증
  • 수포가 터진 뒤 궤양으로 진행되며, 열과 전신 증상을 동반할 수 있음
  • 소아에게 흔히 발생
  1. 칸디다성 구내염
  • 곰팡이균(칸디다)에 의한 감염
  • 혀와 입안에 흰색의 두꺼운 이끼처럼 덮인 양상
  • 항생제나 스테로이드 사용 후 흔히 발생
  1. 베체트병 관련 구내염
  • 반복적인 궤양 발생
  • 생식기 궤양, 안구염증 등 전신 증상이 동반되면 반드시 전문 진료가 필요

반응형

구내염의 치료 방법

구내염은 원인에 따라 치료 접근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보조적 치료
  • 통증 완화를 위한 구강 세정제 (클로르헥시딘 계열)
  •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 (트리암시놀론 등)
  • 진통제 복용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 등)
  1. 영양 보충
  • 비타민 B2, B12, 엽산, 철분 등의 보충을 통해 회복 촉진
  1.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진균제
  • 원인이 감염성일 경우, 원인균에 맞는 약물 치료 시행
  1. 원인 질환 치료
  • 자가면역 질환이나 만성 염증 질환이 원인이라면 해당 질환의 통합 관리가 필요

구내염 예방법

  • 규칙적인 수면과 충분한 휴식으로 면역력 유지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산책 등)
  • 자극적인 음식(매운 음식, 뜨거운 음식) 피하기
  • 구강 청결 유지: 부드러운 칫솔 사용, 구강 세정제 활용
  • 입안 상처 예방: 치아 교정기, 의치 등 관리 철저히
  • 균형 잡힌 영양 섭취: 특히 비타민과 철분 보충

마무리하며

구내염은 비교적 흔하고 가볍게 넘기기 쉬운 질환이지만,
반복적이거나 만성화될 경우, 신체의 이상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입안이 헐고 따가운 증상이 자주 반복된다면
단순히 연고나 가글에 의존하기보다는
생활습관을 돌아보고, 필요하다면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안의 작은 변화가 전신 건강의 거울이 될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